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홈택스에서 법인세 신고하고 안심하고 계신가요?
지방소득세는 따로 신고해야 한다는 사실, 놓치고 있진 않으셨나요?
법인사업자라면 매년 5월, 반드시 챙겨야 할 의무인 법인지방소득세 신고. 신고 안 하면 가산세 폭탄이 기다릴 수도 있습니다.
지금 이 글로 정확히 확인하고 5분 안에 신고까지 완료해보세요!
법인지방소득세란?
법인지방소득세는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세금으로, 법인세와 별도로 신고해야 합니다.
보통 법인세의 10% 수준으로 계산되며, 본점 소재지 기준으로 납부합니다.
※ 예시: 법인세 1,000만 원 납부 → 지방소득세 약 100만 원 추가 납부
신고기간
구분 | 기간 |
---|---|
정기 신고 | 2025.5.1 ~ 5.31 |
지연 신고 | 6월 이후 (가산세 발생 가능) |
※ 회계연도 말이 12월인 법인이라면 이 기간에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제출 서류
- 법인지방소득세 신고서
-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신고서 (홈택스에서 출력 가능)
- 손익계산서, 재무상태표
- 세무조정계산서 (해당 시)
※ 모든 파일은 PDF로 스캔하여 업로드 가능
홈택스 vs 위택스 차이
구분 | 홈택스 | 위택스 |
---|---|---|
관할 기관 | 국세청 | 지방자치단체 |
기능 | 법인세 신고 | 법인지방소득세 신고 |
접속 주소 | 홈택스 바로가기 | 위택스 바로가기 |
홈택스에서 신고했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!
반드시 위택스에서 법인지방소득세도 별도 신고해야 합니다.
위택스 신고 방법
- 위택스 접속 후 로그인
- 신고/납부 → 법인지방소득세 선택
- 과세표준 입력 or 홈택스 자료 불러오기
- 회계서류 첨부 후 제출
- 세액 확인 후 납부 (계좌이체 or 카드)
신고만 하고 납부를 안 하면 무효입니다! 반드시 신고 + 납부 = 완료
이런 실수 주의하세요!
- 법인세만 신고하고 지방세는 생략 ❌
- 회계사에게 맡겼지만 위택스는 별도인 줄 몰랐다 ❌
- 지점 소재지가 다르더라도 본점 기준 지자체만 신고
- 납부 지연 시 최대 20% 가산세 부과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홈택스에서 법인세 신고했는데, 지방세도 했다는 뜻 아닌가요?
A. 아닙니다! 위택스에서 지방소득세를 따로 제출해야 합니다.
Q. 본점과 지점이 다르면 어디에 신고하나요?
A.본점 소재지 기준 지자체에 신고하세요.
Q. 미신고 시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?
A. 최대 20% 가산세 + 납부 독촉 + 불이익이 발생합니다.
마무리
법인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지방세 신고, 놓치면 불이익과 가산세가 따라옵니다.
지금 바로 위택스로 접속해서 5분 안에 신고 완료해보세요.
아래 버튼을 누르면 바로 신고 페이지로 이동합니다!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