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"전세 1억 vs 월세 50만 원, 뭐가 더 이득일까?"
계산기 두드리기 귀찮으시죠?
국토부에서 공식 제공하는 전세/월세 전환율 계산기로 단번에 비교하는 법, 지금 알려드립니다!
1. 전세/월세 전환율이란?
전세 보증금을 월세로, 월세를 전세로 환산할 때 쓰는 비율입니다.
예를 들어, 전세 1억 원을 월세로 전환하면 얼마가 적정한가?를 계산하는 기준이죠.
★ 전세 전환율 공식
전세 전환 월세 = (전세보증금 × 전환율) ÷ 12
※ 예시: 전세보증금 1억 원, 전환율 4%
→ 월세: 약 33.3만 원
"보증금이 적당한 건지, 바가지 쓰는 건지 계산해보셨나요?"
👉 “전세냐 월세냐, 감으로 판단하지 마세요. 숫자로 따져보세요!”
2. 국토부 전세/월세 계산기 사용법
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공식 계산기 링크
→ 신뢰도 높고, 누구나 무료로 사용 가능
◎ 사용 방법
- 보증금 입력 (예: 1억 원)
- 전환율 입력 (기본값: 4%)
- 자동으로 월세 금액 계산!
또는 반대로
- 월세 입력 (예: 45만 원)
- 전환율 입력
- 환산된 전세 보증금 확인 가능
3. 현재 법정 전환율 기준 (2025년 기준)
구분 | 전환율 |
기본 법정 전환율 | 연 2.5% + 기준금리 |
예: 기준금리 3.5%일 경우 | → 전환율 = 6.0% |
※ 단, 실제 시장에서는 4~7%까지 적용됨 (지역·건물 상태에 따라 상이)
"전환율이 높을수록 세입자는 손해, 집주인은 이득입니다."
👉 “지역별 평균 전환율과 비교해보세요.”
4. 전환율 계산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- 계약서상에 명시된 보증금/월세 기준 사용
- 관리비는 계산 대상이 아님
- 환율이 높으면 '월세 바가지' 가능성 있음
- 깡통전세 위험 시, 전세보다 월세가 더 안전한 경우도 있음
5. 계산 예시 비교표
항목 | 전세1억 | 월세 40만 원 |
환산 월세 기준 | 약 33.3만 원 (4% 기준) | 직접 지출 40만 원 |
유리한 쪽 | 전세 | 상대적 손해 (6.4% 전환율) |
※ 월세가 전세 대비 몇 % 수준인지 계산해서 ‘적정 월세’인지 꼭 따져보세요!
6.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
👉 [1편] 전세/월세 계산기 완전 분석
👉 [2편] 실거래가 조회로 깡통전세 피하는 법
👉 [3편] 대출이자 계산기 활용법 & 전세자금 팁
👉 [4편] 확정일자 신청 방법 완전 정리
“이 시리즈만 따라오면, 전세 사기 안 당하고 계약까지 똑똑하게 끝냅니다!”
7. 마무리 요약
- 전세/월세 전환율 계산은 계약 전 필수 작업
- 국토부 계산기 활용으로 안전하게 비교 가능
- 전환율이 높을수록 월세가 불리함 → 체크 필수
"계약서 사인 전, 이 계산기 한 번 돌려보셨나요?"
→ 반드시 내용 확인하고 사인하세요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