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임대인의 재산조회 방법부터 강제집행 신청서 작성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 보증금 반환이 지연될 때 꼭 필요한 실전 대응법을 확인하세요.

     

    "보증금 못 돌려받았다면? 재산조회 → 강제집행으로 대응하세요!"

     

    임대인 재산조회 방법 및 강제집행 신청서 작성법
    임대인 재산조회 방법 및 강제집행 신청서 작성법

     

    임차권 등기명령만으로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렵다면

     

    임대인의 재산을 먼저 파악하고 법원에 강제집행 신청으로 넘어가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▣ 부동산 전세사기 관련 주요 내용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 임대인 재산조회 방법

    STEP 1. 법원 재산명시 신청

    법원에 재산명시 신청을 하면 임대인에게 재산내역 공개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◎ 신청 방법:

    • 관할 지방법원 민사신청과에 신청
    • 법원이 임대인에게 재산명시 명령서 발송

     ◎ 필요서류:

    • 임차권 등기명령 결정서
    • 보증금 반환소송 판결문 or 진행 서류
    • 재산명시 신청서

    법적 근거:
    「민사집행법」 제61조
    “법원은 채권자의 신청에 따라 채무자에게 재산명시를 명할 수 있다.”

     

    ※ TIP: 재산명시를 거부하거나 허위기재 시 임대인은 과태료 및 감치처분을 받을 수 있음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STEP 2. 법원 경유 금융기관 재산조회

    법원을 통해 임대인의 은행 예금, 보험, 금융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계좌압류 전 필수

      - 신청서 제출: 관할 법원 민사신청과
      - 확인 가능: 임대인 명의의 예금, 적금, 보험 정보

     

    STEP 3. 민간 신용정보사 재산조회

    신용정보사(나이스, SCI 등) 의뢰로

    • 부동산 소유현황
    • 차량 등록정보
    • 기타 금융자산 정보를 조회 가능

    ※ 단, 비용 발생 (30만 원 이상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강제집행 신청서 작성법

    재산 확인 후 법원에 강제집행을 신청하는 단계입니다. 부동산, 계좌, 유동자산 압류에 활용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가) 강제집행 신청서 예시

    【강제집행 신청서】

    1. 신청인(채권자)  
    성명: ○○○  
    주소: ○○시 ○○구 ○○로 ○○  
    연락처: 010-XXXX-XXXX

    2. 채무자(임대인)  
    성명: △△△  
    주소: ○○시 ○○구 ○○로 ○○

    3. 집행대상  
    - 부동산(주소 및 등기부등본 기재)  
    - 금융기관 계좌(은행명 및 계좌번호)  
    - 차량(차량번호 및 소유자 정보)

    4. 신청 내용  
    - 위 채무자의 재산에 대해 강제집행(압류 및 경매)을 신청합니다.

    5. 첨부서류  
    - 확정판결문 및 확정증명원  
    - 임차권 등기명령 결정서  
    - 등기부등본 (부동산 대상일 경우)  
    - 기타 필요한 서류

    20   년   월   일  
    신청인: ○○○ (서명)
     
     

     나) 제출처 & 절차

       - 관할 지방법원 집행관실에 접수
       - 압류명령 or 경매명령 발부
       - 법원 송달료 + 인지대 납부 후 집행 진행

    법적 근거:
    「민사집행법」 제56조
    “채권자는 확정판결을 받은 후, 집행권원을 기초로 채무자의 재산에 대해 강제집행을 신청할 수 있다.”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사용자 사례

    사례 1 – 서울 강서구 A씨

    임차권 등기 후에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A씨는 법원 재산명시 신청으로 임대인의 부동산 소유 여부를 확인했습니다.
    결국 부동산 경매를 통한 배당금으로 보증금 전액을 회수했습니다.

     

    사례 2 – 경기 부천 B씨

    B씨는 신용정보사 의뢰로 임대인의 은행 예금 계좌를 확인 후, 법원에 계좌압류 강제집행 신청을 해 보증금의 70%를 직접 회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. 결론: 권리 확보 → 재산조회 → 강제집행까지 이어가야 안전

    등기명령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!
    내 보증금을 지키려면 임대인 재산을 철저히 확인하고 필요 시 강제집행 절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.

     

    ※ 지금 바로 내 상황에 맞는 재산조회 및 집행 절차를 준비해 보세요.

     


    ※ 함께 보면 좋은 글

    반응형